본문 바로가기
생각

현상학과 실존주의 - 인간의 존재와 세계에 대한 직시와 반항

by 프픽 2023. 4. 28.
반응형

현상학과 실존주의는 20세기 철학의 중요한 흐름으로, 인간의 의식과 존재에 대해 탐구하는 방법론과 철학적 입장입니다. 현상학은 의식이 어떻게 세계와 관계하고 세계를 인식하는지를 기술하고 분석하는 철학이며, 실존주의는 인간의 자유와 책임, 주관성과 의미를 강조하는 철학입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 - 인간의 존재와 세계에 대한 직시와 반항


현상학의 창시자는 에드문트 후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후설은 의식이 세계에 나타나는 그대로를 '현상'이라고 하고, 이렇게 주어진 현상의 보편적인 특징과 조건들을 탐구하는 철학을 제시했습니다. 후설은 세계가 의식에 나타나는 방식을 '현상학적 환원'이라는 방법으로 드러내려 했습니다. 

 

 

현상학적 환원은 세계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나 선험적인 지식을 잠시 괄호 치고, 순수한 의식 자체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후설은 이렇게 순수한 의식을 탐구하기 위한 방법론과 기본 개념들을 고안하였고, 실재 자체가 아니라 '실재가 주관에게 드러나는 의식 현상을 탐구'하는 이러한 관점 전환을 '현상학'이라 불렀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 - 인간의 존재와 세계에 대한 직시와 반항


실존주의의 원류는 19세기 중엽 이후의 대중 사회적 상황 속에서 고독한 예외자로서의 입장을 관철한 두 거성, 덴마크의 키르케고르와 독일의 니체의 사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키르케고르와 니체는 인간 개인이 단순히 생각하는 주체가 아니라 행동하고 느끼며 살아가는 주체자이며, 인간은 자신의 존재 방식을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인간 존재에 대한 전통적인 철학이나 종교적인 해답에 만족하지 않았으며, 인간 존재의 복잡성과 모순성, 우연성과 불안성을 강조했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 - 인간의 존재와 세계에 대한 직시와 반항


실존주의를 하나의 독자적인 '철학'으로서 등장시킨 것은 제1차 대전의 패전국 독일에서의 심각한 사회적 위기감의 체험이었습니다. 이러한 체험의 철학적 반성의 결정이라고 할 수 있는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1919)이나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1927)은 실존주의의 탄생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저작이 되었습니다. 

 

 

하이데거는 후설의 현상학을 계승하면서도 존재학적인 방향으로 전환하였습니다. 하이데거는 의식이 아니라 존재가 철학의 근본 문제라고 주장하였으며, 특히 인간 존재인 현존재가 자신의 존재 방식에 대해 질문하고 결정하는 존재라고 강조하였습니다. 하이데거는 현존재가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기 위해 일상적인 세계와 거리를 두고 자신의 죽음에 대해 직시하는 것을 '존재 분석'이라고 불렀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 - 인간의 존재와 세계에 대한 직시와 반항


패전국 독일과 마찬가지의 사회적 불안이 세계 각국을 엄습하고 사람들이 심각한 인간 소외감의 포로가 됨에 따라, 인간의 주체성 회복을 주제로 하는 실존주의는 프랑스, 이탈리아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 파급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사르트르는 현상학과 하이데거 등의 영향을 받아 1930년대 인간 주체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철학을 주창하고 실존주의라 명명한 최초의 인물입니다. 사르트르는 인간은 자신의 본질이 정해져 있지 않고 자신의 행동과 선택에 의해 자신의 본질을 만들어 나간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사르트르는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는 유명한 구호를 내세웠으며, 인간은 자신이 되기로 한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사르트르는 또한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지만 그 자유가 불안과 고통을 수반한다고 지적하였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 - 인간의 존재와 세계에 대한 직시와 반항


현상학과 실존주의는 다른 철학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메를로 퐁티는 인간의 지각과 신체성에 대해 현상학적으로 탐구하였으며, 보부아르는 여성의 존재 방식과 억압에 대해 실존주의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카뮈는 인간과 세계 사이에 근본적인 불일치가 있음을 지적하고, 인간은 그 불일치를 인정하면서도 반항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무의미주의자라고 자처하였습니다. 레비나스는 인간의 존재 방식이 아니라 타자와의 윤리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드리다는 언어와 텍스트에 대해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였으며, 해석학과 비판이론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렇게 현상학과 실존주의는 20세기 철학의 중요한 흐름이 되었습니다. 현상학은 인간의 의식과 세계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실존주의는 인간의 존재 방식과 의미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였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는 인간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하면서도 그것이 수반하는 불안과 책임을 솔직하게 드러내었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는 또한 인간의 지각, 신체성, 언어, 타자와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습니다. 현상학과 실존주의는 현재에도 여전히 많은 철학자들과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